aws 배포를 하게됐다 이전까지는 프론트만 배포하는걸 해봤었는데, 프론트와 서버를 합친 풀스택으로 프로젝트를 배포해보는 좋은 경험을 얻게 되었다. 서버는 express, db는 mysql, 클라이언트는 서버사이드 렌더링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으로 된 프로젝트로, 내가 실질적으로 서버를 가동시켜야 하는 것은 mysql과 express가 있었다. mysql같은 경우는 mysql-server를 통해 쉽게 db를 계속 돌릴 수 있었다. 하지만 express의 경우 한번도 안해봤다는게 문제,,,라서 나중에라도 까먹을까봐 배포한 과정을 적어놓으려 한다. 거두절미하고 스타트
인스턴스 생성 과정에서는 생성 후에 미리 탄력적 ip(elastic ip)를 만들어 할당해놓자. 나중에 만들지 않으면 다시금 접속하는 과정이 귀찮다.
ec2 콘솔의 메뉴에서
Elastic IP addressses -> Allocate Elastic IP address
를 통해 고정적으로 IP를 할당해준다. 설정하지 않을 경우 인스턴스 재실행마다 ip가 바뀔 수 있기때문에 고정적인 ip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

탄력적 IP가 만들어졌으면 Actions -> Associate Elastic IP Address 를 통해 인스턴스에 할당해준다.
ssh 연결은 ec2 인스턴스를 사용한다면 꼭 필요하다 매번 aws 들어가서 할 것도 아니고 애초에 설정 자체가 어렵지 않다 ec2 생성할 때 만든 키페어를 가지고
ssh -i 키페어.pem Username@PublicIP
를 통해 연결해준다.

그럼 이런 식으로 연결이 된다
의 경우 이 링크를 참고
도 이 링크를 참고